개발자 일기119 2024년 회고록 2025년 푸른 뱀의 해가 찾아왔다. 올해의 여정을 계획하기에 앞서, 지난 해를 되돌아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아 회고록을 작성하고자 한다.2024년 1분기 - 회사가 너무 재밌다 올해와 같이 유난히도 추웠던 지난 겨울은, 사실 일 때문에 너무나 바빴으면서도 회사 생활 중 가장 재밌었던 순간들이 많이 있었다. 2023년 8월에 입사해 바쁘게 일을 배웠고, 일이 조금씩 익숙해지면서 11월 제주도 워케이션 - 12월 합숙 일정을 통해 같은 프로젝트를 진행한 다른 회사 동료분들과의 우애가 매우 끈끈해진 상태였다. 회사 동료분들과 이렇게 친해질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친해졌었는데, 당시 합숙을 했을 때 부모님께 허락을 받고 여행을 다녀오시는 동안 집(자택)에서 다같이 밥먹고 개발만 하는 일정을 소.. 2025. 1. 5. [Upstage AI Lab]부트캠프 28일차 오늘의 생각 어제 새벽까지 강의를 들어서 그런가, 오늘은 어제만큼의 강의는 못 들었다. 사실 또 그러면 사람이 아님 내부 경진대회도 시작했고, 스터디도 모집해야되고, 강의도 들어야 되고...해야할 일이 너무 많다. 조금은 번아웃을 느끼는 힘든 하루였다.오늘의 학습내용데이터 전처리결측치 다루기 / 이상치 다루기 카테고리와 기타 변수 다루기 - 연속형 변수 / 범주형 변수 다루기파생 변수 만들기파생변수의 정의와 종류파생 변수 생성 (변수 자체를 변환) - 로그 & 제곱근 변환, Box-Cox 변환, 스케일링파생 변수 생성 (변수 간의 관계를 활용) - 상호작용 변수와 통계 기반 변수파생 변수 선택 방법Feature Selection의 방법 - Filter methods, Wrapper methods, Em.. 2024. 12. 24. [Upstage AI Lab]부트캠프 27일차 오늘의 생각지난 주 월요일 제외 휴가를 다녀왔다. 휴가를 다녀오고 첫날부터 매우매우 바쁜 하루였다. 그만큼 밀렸던 내용이 많았고, 경진대회도 시작하기 때문에 최대한 많은 강의를 빠른 시간 안에 들어야 했다. 진짜 오랜만에 거의 쉬지도 않고 하루종일 강의만 들었던 것 같다. (밥도 못먹었다) 덕분에 머릿속에 지식을 강제로 주입당하는 느낌이었다... 그래도 본격적으로 ML을 배우게 되어서 흥미로운 과정들이 많았다. 중간중간 궁금한 점들이 있었는데, 더 자세히 알아보지 못해 아쉬웠다. 기회가 된다면 별도의 포스팅을 해보는 걸로..!오늘의 학습내용머신러닝의 정의 - 약인공지능 / 강인공지능ML 프로젝트의 구성요소함수 정의의 수학적 표현법데이터와 모델의 학습머실러닝에서 학습의 의미머신러닝 시스템의 확장성ML 시스.. 2024. 12. 24. [Upstage AI Lab]부트캠프 20~21일차 오늘의 생각20일차를 밀려서 같이 쓰는데, 21일차는 진짜 다 아는 내용이어서 쉬웠다. 밀린 강의가 걱정이지만, 다행히 git 관련된 부분은 듣기만 할 수 있어서 한결 마음이 편해졌다. 오늘의 학습내용네트워크 - 회선교환 네트워크, LAN, WANOSI 모델과 TCP/IP 모델트래픽, 처리율(throughout), 대역폭(bandwidth), 패킷 손실(packet loss)이더넷과 이더넷 프레임허브와 CSMA/CD스위치와 VLANIP와 ARPICMP로 알아보는 IP의 한계IP 주소의 구성과 클래스풀/클래스리스 주소 체계라우터와 라우팅 테이블Git과 GitHub의 차이Git CLI의 기본적인 명령어들 (add, commit, push)Repository 생성과 git clone으로 원격 저장소 연동하.. 2024. 12. 13. [Upstage AI Lab]부트캠프 18~19일차 오늘의 생각처음에는 아는 내용이 나와서 신났다. 분명 아는 내용인데...뭔가 더 디테일하게 많다. 학교 커리큘럼 과정이 달라서 그런가? 영어로 배워서 그런가? 의문들이 좀 많아졌다. 내용 자체는 매우 흥미로웠는데, 최근 온라인 강의가 좀 밀려 있어서 이 부분이 걱정이다. 오늘의 학습내용CPU 스케줄링 - I/O bound process, CPU bound process스케줄링 큐선점형 스케줄링과 비선점형 스케줄링CPU 스케줄링 알고리즘 (FIFO, SJF, RR 등)프로세스 동기화 - 공유 자원과 임계 구역뮤텍스 (Mutex)와 세마포어 (Semaphore)조건 변수와 모니터교착 상태 (deadlock)와 해결 방법페이징과 페이지 테이블요구 페이징, 스레싱페이지 교체 알고리즘파일과 디렉터리파일시스템 종.. 2024. 12. 11. [Upstage AI Lab]컴퓨터공학 개론 학습 후기 김용담 강사님의 컴퓨터 공학 개론을 4일에 걸쳐 수강하게 되었다. 말 그대로 "개론"이었기 때문에 컴퓨터와 관련된 기초 지식을 배우기 위해 뛰어들었는데, 보통 한 학기에 걸쳐 들을 내용을 압축해서 배우다보니 그 지식과 양이 실로 방대했다. 강의를 듣기 전에는 이런 생각도 나름 가졌던 것 같다. 간과한 점은 이미 수업을 들은지 5년도 넘었고, 영어러 학습했으며, 교과 과정 자체도 다르다는 것...학습한 내용이 생각보다 더 깊이가 있었다. 오히려 좋아 참여형(?) 이론 수업컴퓨터 공학 관련된 수업들은 대부분 code-along이 많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도 그렇고, 직접 쳐보지 않으면 잘 기억에 남지 않기 때문이다. 나도 실제 수업들을 들을 때는 굳이굳이 필기를 해가며 수업을 듣는 것이.. 2024. 12. 11. 이전 1 2 3 4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