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3

부트캠프 18, 19일차 (솔로 프로젝트) 오늘의 생각 오전에 git과 명령어에 대해 조금 더 공부한 후 부트캠프에서 처음으로 솔로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혼자 공부했을 때도 강의를 위주로 들어서 토이 프로젝트 경험이 적었던 나에게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다. 페어 프로그래밍과는 확실히 다른 느낌이었는데, 기본적인 템플릿은 주어지지만 모든 고민과 기능 구현을 혼자서 해야했다. npm run test같은 기능도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웹 페이지를 만들어가며 기능이 잘 구현되는지 확인해야 했고, 해당 기능이 작동하지 않으면 이에 대한 디버깅과 해결도 홀로 해내야만 했다. 이틀 간의 솔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느낀 점은 '생각보다는 할만 하다'였다. 외향적인 성격이고 사람들과 이야기하는 것을 좋아하는 성격이지만, 공상하는 것도 좋아하기 때문에 .. 2022. 9. 19.
부트캠프 17일차 (유효성 검사, 이벤트 객체) 오늘의 생각 전체적으로 한가한 하루였다. 적응 안 됐던 어제에 비해 확실히 몸이 다시 공부할 준비가 된 것 같다. 하루의 대부분을 페어 분과 함께 유효성 검사를 구현하는 과제를 진행했는데, 생각보다 많이 쉬웠다. 저녁에 진행된 온라인 미팅에서도 이번 과제는 가이드가 많이 너무 많지 않았나 싶었다고 하셨다. 오전 즈음에 과제를 모두 완료했는데, DOM을 활용한 아주 기초적인 기능만 구현했기 때문에 더 자세한 기능을 구현하고 싶다는 욕심이 들었다. 남는 자유 시간에 복습과 더불어 DOM 기능을 보다 적극적으로 써보았다. 단순히 클래스 명을 통해 HTML 요소를 보이거나 숨기는 것 외에도 보다 엄격한 비밀번호의 유효성 검사 구현과 제출 버튼 활성화를 만들어 보았다. 아직 블로그를 통해 배운 개념들을 정리하지 .. 2022. 9. 14.
[자바스크립트] 스코프 (Scope) 처음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했을 때 변수의 선언과 할당을 배우면서 한 가지 의문점이 생겼다. 'let, const, var 같은 게 다양하게 나오는데 왜 let만 쓰지? 각각 의미가 다른가?' 해당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코프의 개념과 더불어 자료형의 종류에 대해서도 알아보자. 스코프(Scope)란? MDN에선 스코프를 "현재 실행되는 컨텍스트로, 값과 표현식이 "표현"(visible)되거나 참조될 수 있다"라고 정의한다. 언뜻 듣기에는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실로 적절한 설명이라고 생각한다. 좀 더 추상적으로 다가가 보자면, 스코프는 마치 우리가 확대경scope를 통해 세상의 일정 부분만 "보이는" 것 처럼 제한된 영역을 말한다. 컴퓨터 시스템에서 "제한된 영역"이란 우리가 선언하고 할당하는 변수.. 2022. 9. 14.
부트캠프 16일차 (DOM) 오늘의 생각 추석 연휴가 끝나고 첫날이라 적응이 잘 되지 않았다. 그래도 막상 공부를 시작하니 또 열심히 집중해서 할 수 있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공부하면서 연휴 때 거의 공부를 못했던 사실이 새삼 느껴져서 많이 아쉬웠다. 그래도 DOM같은 경우 나름 잘 이해하고 있는 것 같아서 다행이라고 생각했지만, 막상 공부를 진행하면서 이전에 몰랐던 내용들이 계속 발견되었다. document 객체는 완벽히 이해가 되지 않았지만,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에 대해서는 잘 이해한 것 같다. 하지만 복습해보니 여전히 모호하게 이해하고 있거나 명확한 설명을 내릴 수 없는 부분들이 있었다. 이후 관련 포스팅을 할 때는 더 명확한 설명을 할 수 있게 찾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오늘의.. 2022. 9. 14.
[자바스크립트] 원시(Primitive) 자료형과 참조(Reference) 자료형 배열과 객체 포스팅에서 객체에 대해 정의할 때 "원시 자료형을 제외한 자바스크립트 대부분의 것들"이라는 언급을 했다. 그렇다면 원시 자료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또 원시 자료형이 아닌 것들은 무엇이라고 부를까? 한 번 알아보도록 하자. 원시 자료형(Primitive data type)과 참조 자료형(Reference data type) 먼저 자료형은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분류가 된다. 1. 원시 자료형 Primitive Data Type 처음 변수의 선언과 할당에서 배웠던 대부분의 자료형들이 원시 자료형에 포함된다. number, string, undefined, boolean 이외에도 null, symbol(익명의 객체 속성을 만들 수 있는 데이터 형식), bigInt(number로 표현하기에 너무.. 2022. 9. 13.
[자바스크립트] 배열(Array)과 객체(Object) 자바스크립트 변수와 자료형에 대해 공부하고, 개발자로서 "효율"을 따지다보면 누구나 드는 생각이 하나 있을 것이다. 그냥 이거 다 변수 하나에 때려 넣으면 안되나? 개발자로서 매우 위험한 발상이지만, 근본적으로 떠오르는 해결책이긴 하다. 매번 비슷한데 내용만 조금씩 다르다고 별개의 변수를 선언하고 재할당하는 일은 꽤 비효율적이라는 느낌을 받는다. 또한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지면 커질수록 변수가 늘어나고 다양해질텐데, 여러 명이서 같이 하는 작업에서 모든 변수의 이름과 값을 기억하기란 쉽지 않아 걱정도 된다. 이럴 땐 어떻게 해야할까? 답은 배열과 객체에 있다. 배열(Array)이란? 배열은 "순서(index)가 있는 값(value)"으로, 기존에 있었던 자료형을 하나의 변수에 저장하고 조회할 수 있도록 만.. 2022. 9.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