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nt-End/자바스크립트 (JavaScript)11 [JavaScript] 반복문 (for/while문) 반복문이란? 이름 그대로 "반복"하는 문文statement으로, 일전에 사용했던 조건문과 같은 계열이다. 같은 작업을 반복할 때 쓸 수 있으며, 하나의 코드를 각각 다른 값value으로 실행시킬 때도 사용할 수 있어 프로그래밍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하다. 반복문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모든 반복문은 어떤 것을 반복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사용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오늘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반복문 몇 가지의 구조와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자. 반복문의 구성 요소 반복문은 종류에 따라 다음 세 가지 기능 중 하나 이상을 가지고 있으며, 해당 기능들을 기본으로 작동한다. 카운터counter: 어떤 값으로 초기화되는 지점으로, 반복문 카운터의 초기값(시작값)을 설정해 '어디서부터' 시작할 지 정한다. 조건c.. 2022. 9. 5. [JavaScript] 문자열 (String) 문자열(String)이란? 문자열 타입 데이터는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확인할 수 있는 모든 글자의 나열이다. 단 컴퓨터에서는 문자열을 다른 데이터 타입과 혼동해 사용하지 않기 위해 따옴표('')를 사용해 단어를 감싼다. 따옴표로 감싸져 있지 않은 텍스트는 문자열로 인식되지 않고 에러를 출력하게 되는데, 이는 자바스크립트가 해당 텍스트를 다른 일반 명령어와 구분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문자열 타입 데이터를 선언할 때는 큰 따옴표("")를 활용해도 된다. 단, 작은 따옴표와 큰 따옴표를 혼동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에러가 날 수 있으므로 한 가지 따옴표를 선택해서 혼동하지 말자. 또한 문자열은 여러 개의 문자(char) 타입 데이터로 구성된 하나의 배열(Array)이므로 배열처럼 인덱스index를 활용해 해당 .. 2022. 8. 30. [JavaScript] 조건문 조건문(Conditional statement)이란? 제시하는 조건에 따라 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는 문文statement(위키백과: 명령형 프로그래밍 언어의 가장 작은 독립 요소)의 일종이다. 직접 만들어서 원하는 값을 리턴 받는 (또는 JS의 경우 특정 코드를 실행시키는) 함수와는 다른 개념으로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 특수성을 띄고 있어 상황에 맞게 유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 조건문에는 반드시 조건식을 제시해야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비교연산자comparison operator를 필요로 한다. 왜 쓰는걸까? 일상 생활을 예로 들어보자. 친구와 약속을 나갔는데 배가 고파서 친구에게 밥을 먹으러 가자고 했다. 사고의 과정을 돌이켜 보자. 먼저 '배가 고프면'이라는 조건이 달성되었다... 2022. 8. 30. [JavaScript] 함수(Function) 함수란? 함수란 작은 기능의 단위로 코드의 묶음이다. 수학적 함수와 언뜻 보기엔 비슷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그 결이 많이 다른 게 프로그래밍에서의 함수다. 특정 값을 입력 받아 원하는 값을 출력하는 것은 같지만 여러 개의 출력값을 가지는 것이나 함수를 통해 특정 기능을 구현하는 것은 프로그래밍 함수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위의 예시처럼 함수는 함수 선언을 위한 값(keyword), 함수의 이름(name), 그리고 함수의 매개변수(parameter)로 구성된다. 왜 쓰는걸까? 먼저 아래의 코드 예시를 보자. 어떤 이유에서인지 우리는 반복된 문장을 출력하기 위해서 console.log창을 10번 입력해야 했다. 코드 예시에서는 단순히 코드 10줄을 반복적으로 치는 작업이기 때문에 그나마 적을 수 .. 2022. 8. 29. [JavaScript] 변수와 타입(Type) 변수(Variable)란? 모든 사물에는 우리가 부르기로 '약속'한 이름이 있다. 컴퓨터 또한 시스템 안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 이를 부르기 위한 이름을 지어줘야 하는데, 이를 변수라고 한다. 변수가 왜 필요할까? 만약 누군가 '사과'가 필요한데 이름이 생각나지 않았다고 생각해보자. 만약 그 사람이 지나가던 때마침 친구에게 '그거 좀 갖다 줘'라고 말한다면, 우린 '사과'를 가져다 줄 수 있을까? 일반적으로 '그게 뭔데?'라고 되물을 것이다. 이처럼 컴퓨터에게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필요할 때마다 해당 데이터를 불러오기 위해서는 더 명확한 지칭이 필요한데, 이역할을 변수가 해주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변수라는 '이름'을 지어줄까? 변수의 선언과 할당 변수를 만들기 위해선 두 가지 단계로 나뉜다. 먼저 데이.. 2022. 8. 22.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