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생각
심화된 네트워크 개념은 이해하지 못한 부분이 많았다.
배웠던 개념이 너무 다양하고 광범위했기 때문에 내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지, 맞게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기가 어려웠다. 그나마 오후에 있었던 세션을 통해 좀 더 정리가 됐는데, 그냥 인터넷의 통신이 잘 작동된다는 사실에 감사했다.
하지만 누군가 네트워크/통신 관련 주제에 대해 이야기 한다면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할 지식이기 때문에 세세한 작동 원리나 이유를 모두 기억하기보다 굵직한 개념들과 흐름을 이해하려고 애썼다.
다만 HTTPS에서 암호화 방식은 이해가 잘 안된다...더 공부해야겠다...
오늘의 키워드
아르파네(ARPANET) 프로젝트, 회선 교환 방식, 패킷 교환 방식, IP, IP Packet, 비연결성, 비신뢰성, TCP, TCP 세그먼트, UDP, OSI 7계층 모델, TCP / IP 4계층 모델, HTTP, 무상태성(Stateless), 비연결성(Connectionless), HTTP Headers, 표현 헤더, 표현 데이터, HTTP헤더, 콘텐츠 협상(Content negotiation) 헤더, HTTPS, 대칭 키 암호화 방식, 공개 키(비대칭 키) 암호화 방식, SSL, TLS, CA, 인증서
오늘의 학습내용
- 네트워크의 역사: 회선 교환 방식이 패킷 교환 방식으로 바뀐 과정과 이유
- 패킷 교환 방식에 따른 IP가 IP 패킷을 사용하는 방법
- IP의 문제점 (비연결성, 비신뢰성)
- TCP의 정의 및 작동 방식
- UDP와 TCP의 차이점
- OSI 7계층 모델의 분석
- TCP/IP 4계층 모델의 분석
- HTTP의 특징(무상태성, 비연결성)의 이해, 각 특징의 장점과 단점
- HTTP Headers의 종류와 각 속성의 문법
- HTTPS의 암호화 방식 (대칭 키 암호화 방식, 공개 키 암호화 방식)
어려웠던 keyword / 활용한 질문
Q. OSI 7계층 중 왜 네트워크 계층에서 IP를 사용하나요?
A. 네트워크 계층에서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 라우팅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때, 데이터 라우팅을 위해 IP를 사용해 IP 패킷을 생성해 전송 계층에서 사용합니다.
Q. 인증서 생성 시 key.pem과 cert.pem의 다른 점은 무엇인가요?
A. key.pem 파일은 비공개 키를 포함한 파일이고, cert.pem 파일은 인증서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입니다.
'개발자 일기 > 일일회고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트캠프 58일차 (OAuth) (0) | 2022.11.14 |
---|---|
부트캠프 일차 56, 57일차(쿠키, 세션, 토큰) (0) | 2022.11.11 |
부트캠프 53, 54일차 (웹 접근성) (0) | 2022.11.07 |
부트캠프 52일차 (웹 표준, SEO) (0) | 2022.11.06 |
부트캠프 50, 51일차 (Redux) (0) | 2022.1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