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생각
코드스테이츠 부트캠프를 진행하면서 기술 블로그 포스팅을 적으면서 매번 느끼는 생각이 있다.
'아~ 내가 이 개념을 잘 모르고 있었구나'
프로토타입은 특히 더 심했던 것 같다. 처음 배웠을 때부터 낯설고 어려운 개념이었는데, 자바스크립트에서 프로토타입은 중요하면서 복잡한 개념이라는 것만 알 수 있었다. 강의를 비롯해 MDN과 여러 문서들을 찾아보고 여러가지 실습을 해보면서 나만의 정의를 내릴 수 있게된 것 같다.
상속할 때 프로토타입이 어떤 이유로 접근하는 이유가 특히 어려웠는데, 프로토타입 체인을 비롯해 여러가지 키워드가 이 혼란을 가증시킨 것 같다. 이를 위한 이해는 역시 여러가지 코드를 짜 보고 사용해서 해당 기능에 익숙해지는 방법밖에 없는 것 같다.
관련해서 페어와 함께 짧은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 상속을 활용하면서 부모 클래스의 기능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매우 쉬웠다. 이론적으로 이해하기는 매우 어려웠지만 막상 실습에서 활용하면 또 쉬우니 참 아이러니하다. 설명할 줄 모르는 개념은 정확히 모른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자부심이 들지는 않았다. 기술 블로깅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도 잘 설명할 수 있도록 개념을 정립하고 싶다.
오늘의 키워드
프로토타입Prototype, 프로토타입 체인, extends 키워드, super 키워드, HTMLDivElement, __proto__ 키워드
오늘의 학습내용
- 프로토타입의 정의와 자바스크립트에서의 역할
- Array를 통해 알아보는 클래스,인스턴스, 프로토타입의 관계
- 상속 시 .prototype을 쓰는 이유
- 프로토타입 체인의 정의와 예시
- 프로토타입과 상속을 사용하기 위한 extends / super 키워드의 사용법
- 프로토타입을 통해 알아보는 DOM의 구조와 구성 요소들
어려웠던 keyword / 활용한 질문
- 프로토타입을 활용했을 때 어떤 장점과 단점이 있나요?
- 상속 시 생성자 함수에서 super 키워드를 쓰는 이유가 무엇이죠?
- 프로토타입 체인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 왜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프로토타입이 중요할까요?
'개발자 일기 > 일일회고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트캠프 25일차 (비동기, Node.js) (2) | 2022.09.26 |
---|---|
부트캠프 24일차 (고차함수, 비동기) (0) | 2022.09.26 |
부트캠프 22일차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0) | 2022.09.22 |
부트캠프 21일차(고차 함수) (0) | 2022.09.20 |
부트캠프 20일차 (Section 1 회고) (0) | 2022.09.19 |
댓글